정의

복잡성 요로감염

복잡성 요로감염은 단순 요로감염으로 정의되지 않은 모든 요로감염을 의미합니다. 좁은 의미에서, 복잡한 감염 경로를 통해 감염 기회가 증가한 환자에서의 요로감염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 임신부, 요로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을 동반한 환자, 도뇨관 유치 환자, 신장 질환 및/또는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등 기저 면역저하 질환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요로감염인 경우입니다.

신우신염

상부 요로감염인 신우신염은 발열(>38°C), 오한, 옆구리 통증, 메스꺼움, 구토 또는 늑골척추각 압통이
나타나는데, 증상이나 방광염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로패혈증

요로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부전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요로 및/또는 남성 생식기 감염에 대해 전신적인 숙주 반응이 조절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TI, CAUTI)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도뇨관이 유치되어 있거나 제거된 지 48시간 이내의 환자에서 발생한
요로감염으로 정의합니다.

단순 요로감염

요로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이 없거나 기저 질환이 없는 비임신 여성에서 발생하는 급성, 산발성 또는 재발성 하부 요로감염 (단순 방광염) 및/또는 상부 요로감염 (단순 신우신염)

단순 방광염

요로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이 없거나 동반 질환이 없는 비임신 여성에서 발생하는 급성, 산발성 또는
재발성 하부 요로감염. 방광염의 재발은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재발성 요로감염

재발성 요로감염에 대한 정의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릅니다. EAU 지침에 따르면, 재발성 요로감염은
단순 요로감염 및/또는 복잡성 요로감염이 재발한 것으로, 최소 연 3회 이상 또는 최근 6개월 이내에 2회
이상 요로감염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합니다. 재발(recurrence)은 유증상 요로감염의 새로운 발현을 의미
하는데, 동일한 균주에 의한 재발 (replase)과 다른 균주에 의한 재감염(reinfection)으로 구분됩니다.
RECAP

그 밖의 정의

항생제 내성

Antibiotic logo

세균이 항생제의 효과에 적응하게 되면 치료 효과가 없게 됩니다. 항생제 내성은 항생제 오남용과 잘못된 감염 예방 및 관리로 인해 가속화됩니다.

항생제 스튜어드쉽(Antimicrobial Stewardship)

Antimicrobial stewardship logo

항생제 스튜어드쉽의 목적은 의료관련감염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감염 등), 독성, 독성균 잔류 및 내성 균주 출현과 같이 항균제 사용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최소화하여 치료 결과의 최적화 및 비용 효과적인 치료를 확실히 하는 것입니다.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ABU)

Asymptomatic bacteriuria logo

무증상 세균뇨는 요로감염의 증상 없이 여성의 경우에는 중간뇨 1ml 당 105개의 집락형성단위 세균이 2회 연속으로 배양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남성에서는 중간뇨 1ml 당 105개의 집락형성단위 세균이 한 번이라도 배양되면 됩니다.

장내 미생물총

Gut microbiota logo

장내 미생물총은 위장관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세균, 바이러스, 원충, 진균 및 이들의 집합적 유전 정보의 총체를 의미합니다.

자연 저장소/질병 저장소(natural reservoirs/ disease reservoirs)

Disease reservoirs pathogen logo

자연 저장소/질병 저장소는 역학적으로 연결된 한 개 이상의 집단 또는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 유해 세균은 저장소에서 영구적으로 서식할 수 있으며, 저장소로부터 다른 대상 집단으로 감염이 전파됩니다. 비뇨생식기 감염의 주요 질병 저장소는 질과 장입니다. 비뇨기 감염의 또 다른 세균 저장소(bacterial reservoir)는 세포 내 세균 군집으로, 유해 세균이 숙주의 1차 및 2차 방어선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않도록 방어합니다.

난치성 감염

Refractory logo

항생제 치료 중에도 동일한 세균 종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 RECAP

복압성/절박성 요실금

Stress incontinence logo

복압성 요실금: 복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신체 활동 (웃거나 기침하는 등) 시 방광에서 소변이 의도치 않게 새어나옴. 절박성 요실금: 갑자기 강한 요의를 느끼면서 방광에서 소변이 의도치 않게 새어나옴.

질내 미생물총

Vaginal microbiota logo

질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집합체

유산균(Lactobacillus spp.)은 건강한 여성에서 우세한 질 내 세균 종입니다.

정상적인 균형이 깨지고 유산균의 비율이 감소하게 되면, 비뇨생식기 감염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RECAP

재발성 방광염은 RECAP(The 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에서 다루는 주된 관심사입니다 RECAP.

약어
ABU Asymptomatic bacteriuria (무증상 세균뇨) | ACSS Acute Cystitis Symptom Score (급성 방광염 증상 점수) | AKI Acute Kidney Injury (급성 신장 손상) | AP Aminopenicillins (아미노페니실린) | AUA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미국 비뇨의학회) | AUC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급성 단순 방광염) | CAUTI Catheter-associated UTI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 CIHR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Research (캐나다보건연구소) |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 CUA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캐나다 비뇨의학회) | cUTI complicated UTI (복잡성 요로감염) | DGU German Society of Urology (독일 비뇨의학회) | DM Diabetes Mellitus (당뇨) | EAU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유럽 비뇨의학회) | ESBL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s (광범위 스펙트럼 베타-락타마제) | ESCMID European Society for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유럽 임상미생물학 및 전염병학회) | ESIU European Section of Infection in Urology (유럽 비뇨의학과 감염 섹션) | IBCs Intracellular Bacterial Communities (세포 내 박테리아 군집) | ISAC International Society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국제 항균화학요법학회) | LATAM Latin America (라틴아메리카) |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 | QoL QoL Quality of Life (삶의 질) | RECAP The 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 (재발성 방광염 인식 프로그램) | rUC recurrent Uncomplicated Cystitis (재발성 단순 방광염) | rUTIs recurrent UTIs (재발성 요로감염) | SF-12v2 Health-related quality-of-life questionnaire (건강관련 삶의 질 설문지) | SMUG Sociedad Mexicana de Uroginecología (멕시코 비뇨의학회) | SMZ sulfamethoxazole (설파메톡사졸) | SUFU Society of Urodynamics, Female Pelvic Medicine and Urogenital reconstruction (요역동학회, 여성 골반의학 및 비뇨생식기재건학회) | UPEC Uropathogenic E. coli (요로병원성 대장균) | US United States (미국) |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 WHO World Health Organisation (세계보건기구)

참고문헌

RECAP = RECAP 표시는 RECAP 전문가 위원회가 승인한 문구입니다.

OM Pharma Logo

The RECAP board is a panel of international experts in urological infections. The opinions presented within this educational material are those of the RECAP board and not those of OM Pharma. Members of the RECAP board include: Jose Tiran Saucedo (Mexico), Yvette León (Mexico), Gernot Bonkat (Switzerland), Kurt G. Naber (Germany), Florian ME. Wagenlehner (Germany), J C. Nickel (Canada), Flavia Rossi (Brazil), Enrique Ubertazzi (Argentina), Agnaldo L. da Silva Filho (Brazil), Tamara S. Perepanova (Russia), Jose Antonio Ortega Martell (Mexico) & Seung-Ju Lee (Korea), Bela Köves (Hungary) & Tommaso Cai (Italy).

Patient version : MED-HQ-UV-2100071 / HCP version : MED-HQ-UV-2100070
Date of preparation: Decemb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