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사용결과와 스튜어드쉽(stewardship)

항생제 내성

핵심 사항

항생제 내성은 서서히 발생하지만, 사람과 동물에서 항생제가 오남용될 경우 이 과정은 가속화됩니다.

항생제 내성은 다음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입니다.

Global health icon
  • 세계 보건
  • 식량 안보
  • 현대 의학의 발전
  • 연령 및 국가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내성은 서서히 발생하지만, 사람과 동물에서 항생제가 오남용될 경우 이 과정은 가속화됩니다.
  • 사람에서 발견된 수많은 항생제 내성 사례는
    추적결과 가축에서 유래한 것으로 의심되는
    내성균
    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Resistant microorganisms icon
  • 내성균이 중요한 이유는 내성균으로 인한
    감염이 사망을 초래할 수 있고
    타인에게
    전파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개인과 사회가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내성균(예, ESBL, CRE, VRE, MRSA)은 치료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대체 약물이나 고용량의 항생제가 사용되고, 결과적으로 치료비용이나 항생제 독성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은 현대 의학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감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항생제 없이는, 장기이식,
항암치료 및 수술이 더욱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요로감염에서 항생제 사용

Antibiotics icon
  • 요로감염 시, 소수의 항생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항생제 내성, 효능 부족 및 잠재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항생제 사용이 더욱 제한되고 있습니다.
Resistance icon
  • 항생제 내성은 향후 요로감염 치료를 어렵게
    하고
    지역사회의 질병치료 부담을 가중
    시킵니다.
  • 요로감염에 대해 지속적으로 항생제 예방요법을 시행할 경우, 내성 요로병원체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재발성 요로감염에서 적절하고 신중한 항생제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세대를 위하여 항생제 남용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항생제와 미생물총(microbiota)

최근까지 건강한 요로는 무균상태로 여겨졌지만 여러 연구에 따르면 Lactobacillus, Prevotella 와 Gardnerella 와 같은 유익균이 소변에서 분리될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Antibiotics icon
  • 항생제는 건강한 미생물총에 생태적 교란을
    일으켜 항상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eneficial microbiota icon
  • 유익한 미생물총이 사라질 경우, 요로 유해 세균
    집락 형성 위험이 증가하면서, 요로생식기는
    요로계 미생물의 불균형한 상태와 손상된 미생물 상태로 바뀔 수 있습니다.

항생제 스튜어드쉽(Antimicrobial stewardship)

Antimicrobial stewardship icon
  • 항생제 스튜어드쉽은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화된 프로그램으로, 항생제 내성 감소, 다제내성균(multidrug resistance bacteria) 확산 감소, 환자 치료 결과 개선 및
    항생제 사용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

antimicrobial resistance icon
  • 항생제의 내성 증가, 치료 효과 부족 및 부작용으로 인해서 재발성 방광염에서 비항생제 예방요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항생제 사용을 줄이면, 항생제 내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및 세균 병원소

병원소(disease reservoir)는 유해 세균과 감수성이 있는 숙주(susceptible host) 사이에서 전염 경로 역할을
합니다.

재발성 요로감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원인(possible cause)은 다음과 같습니다:

Bacterial infection icon

세균 감염

Intracellular bacterial communities icon

최초 감염 후 4~16시간에 형성되는 세포 내
세균 군집
(Intracellular bacterial communities,IBC)

intracellular reservoir icon

항생제 치료 요법에도 불구하고, 2주 이후에 지속적이고 잠재적인 세포 내 세균 병원소
(quiescent intracellular bacterial reservoirs, QIRS) 발생

IBCs icon

장기간 휴지 상태로 있던 세포내 세균 군집이 이후 다시 활성화되어 재발성 요로감염 야기

단계적 예방요법은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재발성 방광염의 위험이 있는 환자는 단계적인 예방적 요법을 따라야 합니다. 이러한 예방 요법은 EAU 지침을 비롯한 여러 지침에서 권고하고 있습니다.

1. 진단

Diagnosis icon

ACSS 설문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설문지 검사는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지만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소변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신우신염 발생 또는 재발시 항생제 선택을 적절히 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2. 위험 인자 회피

Risk factors cystitis logo

위험인자 관리 및 예방 지침 상담(예: 수분 섭취 감소, 습관성 및 성관계 후 배뇨 지연)

3. 비항생제 예방요법

Non-antimicrobial prophylaxis icon

유로박솜을 통한 면역강화 예방요법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 (질 에스트로겐 보충법)

OM Pharma Logo

The RECAP board is a panel of international experts in urological infections. The opinions presented within this educational material are those of the RECAP board and not those of OM Pharma. Members of the RECAP board include: Jose Tiran Saucedo (Mexico), Yvette León (Mexico), Gernot Bonkat (Switzerland), Kurt G. Naber (Germany), Florian ME. Wagenlehner (Germany), J C. Nickel (Canada), Flavia Rossi (Brazil), Enrique Ubertazzi (Argentina), Agnaldo L. da Silva Filho (Brazil), Tamara S. Perepanova (Russia), Jose Antonio Ortega Martell (Mexico) & Seung-Ju Lee (Korea), Bela Köves (Hungary) & Tommaso Cai (Italy).

Patient version : MED-HQ-UV-2100071 / HCP version : MED-HQ-UV-2100070
Date of preparation: December 2021